문헌록 전자족보(대동보) > 문헌록
           
1. 문헌 목록 〉20. 20世 〉8. <부정공>괴헌공휘연근가장(槐軒公諱演根家狀)
1. 문헌 목록 〉20. 20世 〉10. <부정공>통정대부부호군공휘득엽묘갈명(通政大夫副護軍公諱得燁墓碣銘)
1. 문헌 목록 > 20. 20世 >  
9.<부정공>통정공휘득엽가장(通政公諱得燁家狀)
通政公諱得燁家狀 府君諱得燁字義瞻我趙籍玉川上祖高麗光祿大夫諱璋是生洪珪官戶部尙書有諱佺以子元吉追恩封玉川府院君號農隱諱元吉乙巳以侍中與鄭圃隱諸賢定策立大勳封玉川府院君而玉川即今之淳昌郡也諡忠獻享武夷院性潭先生發揮大節於院中上樑文虔谷諱瑜麗季喪紀壞廢之際前後居廬盡禮生進文科官副正本朝受襌後義不食周粟入于杜門洞隱德不仕晩歸富有縣里門以天年終我 世宗朝嘉其忠靖賜禮葬又命旌閭享順天謙川院渼湖金先生嘗撰表文而先師淵翁近又備述事行於碣面有諱斯文贈吏議有諱智崙蔭察訪昆季四公友于篤至卜築於謙川上扁以相好而事載崔勉庵所撰碣銘有諱穩階尙書院直長有諱淑璟蔭忠順衛河西金先生表墓有諱曰大春號三灘乙巳禍後不求聞達晦默自持築漾碧亭於梅雨江上以爲別業嘗與河西金先生玉峰白公同遊題名溪上先師亦嘗杖屨臨之讚述行治於墓道文字有諱懋蔭參奉有諱晫宣敎郞有諱時聖通德郞以孝旌閭有諱維綱是生諱之賓高祖諱台望曾祖諱成夏祖諱元淳考諱仁根孝友淸白妣新平宋氏俛仰後孫相文女府君以 純祖丁卯十月二十五日生性氣溫厚守分謹拙無少放過家素淸寒嘗就外傳受讀一日有爲而歎曰家貧親老奚暇文墨專以竭力養志爲事躬行漁樵負米於外以供甘旨勤稼飯牛棲息畎畂之中自守禮義廉耻奉祭祀也宿齋沐而盡其誠敬敎子孫也業耕讀而勉其孝悌窮焉而不慕不義之貴貧焉而不羡不仁之富持身但蕩不設뵞畛於物我之間故鄕隣知舊族威感丸悅服而誦慕不己時富己丑國家昇平大王大妃望九獻壽之慶完伯金公奎洪以耆老狀聞該曹階通政大夫龍驤衛副護軍焚香告辭之日顧謂家人曰草野賤齒受優老恩典無以少答涓埃之路則呼崇祝華之願止切於犬馬之變而己又曰人之生也窮達皆有命焉惟當順受其正不可自鬻耽榮以喪其所守也竟以今上甲午九月十四日下世享年八十八葬于順天府住岩面大龜西麓先兆之左甲坐原配興德張氏廷翼之女仁惠端純配德無違訓子女各勤其業隣里稱歎而家道賴而成立焉先府君十年甲申十月十三日而沒墓遷祔擧二男一女長男亨奎娶豊川任氏執義琠後孫相休之女自于歸以後敬執婦道孝事舊姑寬待妯娌化行一門庭無間言次男昶奎娶完山李氏在箕之女每當忌辰節祀預備魚果之物必獻于宗家不以介婦而或緩其誠女適昌寧曺秉哲亨奎生四男一女長曰不肖鍾悳娶陽川許氏暄之女無子而有三女以季弟鍾玹之子東洙爲後娶木川張氏墓旭之女女長適士人南陽洪溫次適星山李相瑀次適瑞山柳秉源次曰鍾浩娶平山申氏命弼之女早圽生一男一女男益洙娶高靈申氏早圽娶慶州鄭一鉉之女女適長興任基次曰鍾萬娶陽川許氏早圽娶木川張淡之女生五男一女男長奇洙娶木川張基衡之女餘皆幼女適慶州鄭次甲次曰鍾玹娶海州吳氏學默之女生二男二女男東洙出爲不肖後次致洙女適竹山安鍾燮女適木川張基顯昶奎生一男四女曰鍾協娶女扶安林氏左煥之女無育珍原朴泰俊木川張基永竹山安斗炯星山李石淳皆女壻也嗚呼府君之至性淳行誾然自修眞實無違不飾邊幅固守其窮至老不變者皆可爲後承之柯則而追思平日家庭間容儀警欬悲愴哽寒有不忍書亦不忍忘也而以竣立言君子之採擇焉 不肖孫 鍾悳 謹述 통정공휘득엽가장(通政公諱得燁家狀) 부군의 휘는 득엽(得燁)이요. 자는 의첨(義瞻)이며 순창趙氏인데 상조 고려 광록대부(光祿大夫) 휘 장(璋)의 아들 홍규(洪珪)는 벼슬이 호부상서(戶部尙書)요. 생 휘 전(佺)은, 아들 원길(元吉)의 추은(追恩)으로, 봉 옥천부원군이며 휘 원길이요 을사년에 벼슬이 시중인데 정포은 제현으로 더불어 계책을 정하고, 큰 훈공을 세워 옥천부원군에 봉작되니 옥천은 곧 지금의 순창군이다. 시호는 충헌(忠獻)이요. 무이(武夷)원에 배향되었는데, 성담(性潭) 송선생이 큰 절의를 서원 상량문에 발휘하였다. 건곡(虔谷) 공 휘 유(瑜)는 고려말 단상(短喪)때 전후 초상에 예를 다하여 시묘하고 생원 진사로 문과에 올라 벼슬이 부정이며 이씨가 대위(大位)을 받은 뒤에 의리상 주나라 서숙을 먹지않고 두문동(杜門洞)에 들어갔다가, 말년에 부유(富有) 고을 리문(里門)에 돌아와 천년으로 고종하니, 세종조에서 그 충절을 가상(嘉尙)하여 예장(禮葬)을 내리고 정려를 명하였으며 겸천사에 배향하였는데 미호(渼湖) 김선생이 표문을 찬하고 선사(先師) 연옹(淵翁)이 묘갈명을 기술하였다. 휘 사문(斯文)은 증이조참의요. 휘 지륜(智崙)은 음직 찰방으로 四형제가 우애 독실하여 겸천위에 정자를 지어 담락하였으며 휘 숙경(淑璟)은 음충순위(蔭忠順衛)요 휘 대춘(大春)은 을사 사화뒤에 공명을 탐치않고 침묵히 몸을 가져 매우(梅雨) 강우에 양벽정(漾碧亭)을 짓고 일찍 하서(河西) 김선생과 옥봉(玉峰) 백선생으로 더불어 암벽(岩壁)에 제명하고 선사가 왕림하여 묘도(墓道) 문자를 썼으며 휘 무(懋)는 음창봉이고, 휘 탁(晫)은 선교랑(宣敎郎)으로 휘 시성(時聖)은 통덕랑(通德郎)으로 효행으로써 명정하였고 휘 유강(維綱) 생휘 지빈(之賓)이시다. 고조 휘 태망(台望) 증조 휘 성하(成夏)며 조의 휘는 원순이요 고의 휘는 인근(仁根)인데 효우 청백하였고 비 신평송씨(新平宋氏)는 면앙(俛仰) 후손 상문(相文)의 딸이다. 부군은 순조(純祖) 정묘년(一八○七) 十월 二十五일에 출생하였는데, 품성과 기질이 온후하고 삼가 분수를 지켜 조금도 방탕한 일이 없으며, 집이 본래 가난하였으나, 일찍 스승에게 나아가 글을 배웠다. 하루는 탄식하여 말하기를 『집이 가난하고 어버이는 늙었으니 어느 시간에 문필을 하겠는가?』 하고는 오로지 힘을 다하여 뜻을 받들기로 일을 삼아 몸소 고기잡고 나무하며 쌀을 지고가서 팔아, 좋은 반찬을 장만하고 씨뿌리기를 부지런히 하며 소를 먹이고 밭두둑 사이에 살면서 제사를 모실때는 목욕 재계하고, 정성을 다하며, 자손을 가르쳤다. 갈고 읽기를 업으로 하고 효제를 권면하고 궁하여도 공령의 영화는 생각지 아니하며, 가난하여도 불인의 부호는 바라지 않고, 몸 가짐을 너그럽게 하여 남과 나 사이에 간격을 두지 않으니 고을의 모든 사람이 감화하여 기꺼이 복종 하였다. 기축년( )을 당하여 나라가 태평하고 대왕대비(大王大妃) 망구헌수(望九獻壽)의 경사를 만나 도백 김 규홍(金奎洪)공이 기로(者老)로서 이조에 글을 올려 통정대부용양위부호군(通政大夫龍驤衛副護軍)을 제수하니, 분향하고 아뢰는 날에 집안 사람을 돌아보고 말하되 『초야에 천한 나이로 노인을 우대한 은전(恩典)을 받아 적은 보답도 할 길이 없은즉 다만 성덕을 빌따름이다.』 하시고 또 말하기를, 『사람의 일생에 곤궁하고 영달한 것이 다 운명이니 오직 순하게 바른 것을 받는것이 마땅하고 스스로 이름을 팔아 영리를 탐해 그 지킬 바를 상실한 것은 불가하다.』 하였다. 마침내 금상(今上) 갑오(甲午)년 九월 十四일 향년 八十八세로 별세하니 순천부 주암면 대구서록 선영 왼쪽 신좌 언덕에 안장하였다. 부인 흥덕장씨(興德張氏)는 정익(廷翼)의 딸로 어질고 은혜스러우며 단정하고 순수하여 착한 덕이 어김이 없고 자녀를 가르치고 각각 그 직업에 충실하게 하니 고을 사람이 다 감탄하였고 가산이 거기에 힘입어 이루어졌다. 배흥덕장씨는 女士風이 있었고 부군보다 十年 먼저인 갑신(甲申)년 十월 十三일 별세하였는데 묘소를 옮겨 부장하였다. 二男 一女를 두었는데 장남 형규(亨奎)는 풍천임씨(豊川任氏) 집의 전(琠)의 후손 상휴(相休)의 딸에게 장가 들었다. 임씨는 시집온 뒤로부터 시부모를 공경하며 효도로 섬기고 동서를 너그럽게 대하니, 고화가 가문에 행해지고 가정에서는 불만이 없었다. 차남 창규(昶奎)는 완산이씨(完山李氏) 재기(在箕)의 딸에게 장가들었는데 매양 제사를 당하면 어과(魚果)를 준비하여 반드시 종가에 바치고 중부로서 그 정성을 부지런히 하였고 딸은 창녕(昌寧) 조병철(曺秉哲)의 처이다. 형규의 아들은 종덕(鍾悳) 종호(鍾浩) 종만(鍾萬) 종현(鍾玹)이요 창규의 아들은 종협(鍾協)이며 딸은 진원(珍原) 박태준(朴泰俊) 목천(木川) 장기영(張基永) 죽산(竹山) 안두형(安斗炯) 성산(星山) 이석순(李石淳)의 처이다. 증손 익수(翼洙)는 종호(鍾浩)소생이요 기수(基洙)는 종만소생이요, 동수(東洙) 치수(致洙)는 종현의 소행인데 동수는 종덕 후사로 출계하였다. 창규의 아들 종협(鍾協)이 아들이 없어 조카 도수(道洙)를 양자 아였다. 아, 부군의 지극한 성품과 행실은 화열하게 스스로 닦아 진실을 어김이 없고 허세를 부리지 않고 구지궁한 것을 지켜 늙도록 변하지 아니한 것은 후손의 규범이 되고, 따라서 평일 가정간에 용태와 경계하신 것을 생각하면 슬픔이 목이메어 차마쓰지 못할 것이고 또 차마 잊지 못하겠으므로 입언 군자의 채택을 기다린다. 불초손(不肖孫) 종덕(鍾悳) 삼가 씀
 
1. 문헌 목록 〉20. 20世 〉8. <부정공>괴헌공휘연근가장(槐軒公諱演根家狀)
1. 문헌 목록 〉20. 20世 〉10. <부정공>통정대부부호군공휘득엽묘갈명(通政大夫副護軍公諱得燁墓碣銘)